성저십리 城底十里 번화했던 공간,
만초천변 모래사장 터 ‘뚜께우물’
최초라는 수식어가 적지 않은
“서소문 밖 역사유적지”
조선시대 “서소문 밖 네거리”는 한양도성 4대문 중 숭례문 (남대문)과 돈의문(서대문) 사이의 간문間門인 서소문(소의문) 바깥에 위치했던 마을의 이름입니다(동명연혁). 성저십리의 번화했던 공간으로 상업적 농업, 수산업, 그리고 수공업이 발달했던 장소입니다. 한편 이곳은 조선시대 국가의 공식 처형지였습니다(태종실록 권32). 지상 역사공원의 ‘뚜께우물’(1922, 경성도)이 이를 확인하여 줍니다.
아울러 이 지역은 조선시대부터 지금까지 역사성이 참으로 많은 곳입니다. 의주로의 일환으로 중요한 외교통로였고, 한국 최초의 성당인 약현성당(1892)이 세워졌습니다. 최초의 철도인 경인선(1900)과 경의선(1906)이 놓여 졌고, 역시 서소문 고가는 1910년 우리나라 최초의 고가도로였습니다. 그야말로 최초라는 수식어가 참 많은 곳입니다. 가장 최근에는 바티칸이 승인한 아시아 최초 세계국제순례지로 공식 선포(2018. 9. 14.)되었습니다.
상설전시관 제2전시실은 “서소문 밖 네거리”의 장소성과 역사성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습니다.
19세기 추정,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동국여도(東國輿圖) 중 하나로 한성부의 관할인 도성과 성저십리를 그린 지도다. 남대문에서 서대문에 이르는 도성 밖 성저십리의 모습이 상세하게 묘사되었다. 소의문 밖 교차로와 흙다리가 위치한 곳은 서소문참형터로 현재 박물관이 자리하고 있다.
1922, 서울역사박물관
서소문 밖 형장의 위치는 이교(圯橋, 흙다리)의 남쪽 백사장으로, 안산과 인왕산에서 시작되는 만초천(蔓草川)변이었다. 형장의 동쪽 근방에는 망나니가 사람을 죽일 때 칼을 씻던 뚜께우물이 있었다.
1938
모녀지간인 허계임 (許季任, 1773-1839)과 이정희 (李貞喜, 1799-1839)는 1839년 기해박해 때 서소문 밖 네거리 형장에서 순교하였다.
정약용은 약현을 “곡물이 폭주하고 수레가 부딪치고 사람이 어깨를 부딪치는 곳이다.” 라고 기록하며, 한강 물길을 통해 반입되는 모든 물자가 서소문 밖으로 모여들었다고 적었다.
2018년 9월 14일 서소문역사 순교성지에서는 ‘천주교 서울 순례길 교황청 국제 순례지’ 선포식이 열렸다.
김경자, 김의용(소목장), 강정조(나전장), 손대현(옻칠장)
2014년 프란치스코 교황의 한국 방문과 한국 순교자 124위 시복을 기념하고, 남북한의 통일과 생명문화 회복을 실현하기 위해 한국천주교회의 결의와 쇄신의 표징으로 제작되었다. 한국의 십장생도를 밑그림으로 하고, 프란치스코 교황의 방한 시 당부 말씀을 한국천주교회의 과거와 현재, 미래의 세부분으로 나눠 나전칠화기법으로 조형화 하였다.
서소문의 자음인 ‘ㅅㅅㅁ’이 한줄기로 연결되어 있다. 첫 번째 ‘ㅅ’은 공원을 산책하는 사람들을, 두 번째 ‘ㅅ’은 대지의 길을 걷는 순례자를 상징하며 마지막의 ‘ㅁ’은 순교의 정신을 간직한 성지를 상징한다. 한글을 모티브로 하여 하늘과 사람, 그리고 땅 의 조화를 나타낸 디자인이다. 이 모든 요소는 서소문이 가지는 순교의 역사와 공원에서의 ‘쉼’, 생명의 보금자리인 ‘숲’, 그리고 미래로 이어질 문화적 가치를 함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서소문 밖 네거리’는 조선 후기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사회적 시대상을 오롯이 간직한 장소이다. 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은 서소문 밖 네거리가 지닌 시대의 기억과 역사적 가치를 바탕으로, 이곳을 생명의 공간으로 새롭게 탄생시켰다. 조선시대 사상사를 중심으로 한 상설전시관 제1전시실과 서소문의 장소성과 역사성을 보여주는 제2전시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획전시실, 교육공간인 명례방, 도서관, 성 정하상기념경당과 콘솔레이션 홀, 하늘광장 등으로 나뉘어져있다. 나와 다른 타인의 사상, 신앙, 다름을 인정하고, 다른 이를 존중하는 평화와 공존을 생각하게 하는 문화공간이다.